학회소식         학술발표회         논문검색

[2017년 제 1차] 2017년 미국의 단계적인 금리인상 전망을 반영한 우리나라 금리 변화 예측과 시사점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883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지속되어온 미국의 제로금리정책은 2015년과 2016년 12월 각각 한차례씩의 0.25%p 기준금리 인상을 신호로 2017년부터는 정책금리가 점진적으로 인상되는 출구전략 국면으로 전환되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시장의 컨센서스는 2017년 한 해에도 미국의 정책금리가 서너 차례에 걸쳐 인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이전과 달리 그 기대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히 줄어들었고 매우 견고한 것으로 평가된다. 2017년 미국의 단계적인 금리인상은 일종의 개연성이 높은 ‘예상된 글로벌 충격’(anticipated global shock)이므로 이러한 전망을 명시적으로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금리 기간구조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채권 포트폴리오 투자자뿐만 아니라 가계부채를 관리해야 하는 정책담당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도 미국발 예상된 글로벌 충격이 우리나라의 수익률 곡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고자 한다.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은 FOMC의 점 도표에서 보는 것처럼 단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본 연구는 Nogueira (2010)의 전망을 고려한 기간구조 예측 방법론을 다기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여 응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17년 미국의 4 차례 정책금리 인상(평균값 기준으로 2016년말 0.625%에서 분기별로 0.67%→0.87%→0.94%→1.17%)에 대한 전망(view)을 가정하고 우리나라의 수익률 곡선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수익률 곡선은 평균적으로 0.9%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의 정책금리가 전망대로 0.55%p 상승하는 경우 우리나라의 정책금리는 0.41%p 정도 상승하는 것이 과거 기간구조의 시계열적 특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익률의 변동을 대부분 설명(약 91%)하는 주요인은 크게 4가지, 즉, 글로벌 수준, 글로벌 수준 차이, 글로벌 기울기, 글로벌 기울기 차이로 나타나 두 국가의 장·단기 금리 총 4개의 값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면 미국과 우리나라의 수익률곡선의 91%를 설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국의 단기 정책금리에 대한 전망의 불확실성이 최근 대폭 줄어들었다는 것은 이 중 최소한 한 개에 대한 전망의 신뢰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는 기존의 시계열 예측모형과 달리 그 정보를 충분히 반영한 실용적인 대안적 금리예측 결과를 제시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고 할 수 있다.

핵심 단어: 이자율 기간구조, 예상된 글로벌 충격, 요인분석, 전망, 정책금리, 출구전략
JEL 분류기호: G17, E43, C53
 첨부파일
10-1_2017년미국의단계적인금리인상에따른우리나라금리변화예측과시사점_이상헌,김명직.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