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학술발표회         논문검색

[2019년 제 1차] 기업공개 시점에서의 이익요건 충족과 상장폐지의 관련성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9

본 연구는 ‘기업공개 시점’에서 자기자본이익률 및 당기순이익 등 이익에 대한 상장요건의 충족여부와 상장폐지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신규상장한 935개 기업이며, 이들 중 상장폐지된 120개 기업이 주 검증대상으로 분석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기업공개 연도에 자기자본이익률과 순이익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에서 상장폐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카이자승 분포로 검증한 빈도분석 결과, 이익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표본에서 상장폐지 빈도는 기대빈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익요건을 모두 충족한 표본에서는 상장폐지 빈도가 기대보다 유의하게 적게 관측된 반면, 이익요건이 모두 미충족된 표본에서는 상장폐지 빈도가 기대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관측되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이익요건이 충족되지 못한 변수의 회귀계수는 상장폐지에 유의한 양(+)의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이익요건을 모두 충족한 표본은 상장폐지 확률유의성이 낮게 나타난 반면, 이익요건을 모두 미충족한 표본에서는 상장폐지 가능성이 매우 높게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본 연구는 신규상장 시점에서 이익요건의 충족여부가 상장폐지에 유의한 설명관계가 있는 결과를 도출하여, 이익요건에 흠결이 있는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제 방안을 구축함으로써 시장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핵심 단어: 신규상장, 상장요건, 상장폐지, 코스닥​ 

 첨부파일
03-2.기업공개_시점에서의_성과요건_충족과_상장폐지의_관련성_김문태,강유정.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