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분기이익시점의 SUE, 전기대비 이익(당기순이익, 영업이익)의 증감에 따라 집단
을 세분하여 분기이익시점의 주가수익률과 공매도 거래행태를 사건연구 방법론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특히, 어닝서프라이즈를 SUE가 1이상이면서 전년동기대비 및 전분기 대비 이익이 증
가한 집단(ESUR: S1+ ΔYQ+)으로 설정하고 어닝 쇼크를 SUE가 –1이하면서 전년동기대비
및 전분기대비 이익이 감소한 집단(ESHO: S1-ΔYQ-)으로 설정하여 해당사건의 발생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과 분기이익공시 이후의 공매도 거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을 2009년부터 2016년까지로 설정하고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업종을 대상으
로 표본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기이익발표 시점에서 SUE가
양(+)인지 음(-)인지에 따라 시장반응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ESUR 집단에서 가장 높
은 AAR과 CAR이 나타났으며 ESHO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닝서프라이즈와
어닝쇼크가 발생의 선행요인을 분석한 결과 분기이익공시 이전의 누적초과수익율이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으로 SUE를 추정한 결과 어닝서프
라이즈 표본에서 분기이익공시일 D+1일부터 D+5일간의 누적초과공매도 거래비중(CASR(1,5))이
당기순이익으로 구분한 ESUR 집단을 제외한 모든 분석대상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ESUR가 CASR(2,5)에 음(-)의 관계를 보이는 반면 ESHO는 CASR(2,5)에 양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분기이익공시, 표준화비기대이익, 어닝서프라이즈, 어닝쇼크, 공매도거래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