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재무이론의 주요 주제의 하나로 연구되고 있는 지주회사의 가치에 대한 논쟁에 추가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 상장기업 가운데 지주회사로 전환한 기업에 대하여 사례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해 지주회사의 가치 증진 여부에 관해 검증하였다. 한진중공업홀딩스(주)와 CJ(주)의 사례연구에서는 비교대상기업인 삼성중공업(주)와 오뚜기(주)에 비해 높은 주가수익률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기업 모두 사건일 이전에 높은 수익률이 발생하여 지주회사 전환 공시 이전에 주로 공시정보에 대한 주주가치 증진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00년 이후 지주회사로 전환을 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지주회사의 공시에 대한 시장에서의 반응을 알아보고, 나아가 각 기업의 재무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주회사 전환이 공시 전후에 걸쳐 긍정적인 시장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주회사 정보가 긍정적인 공시효과를 주는 것으로 판명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지주회사가 주주가치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주회사에 대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지주회사 가치평가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연구결과 지주회사 전환 정보가 신용등급 변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지주회사 정보가 채권자의 가치 또는 부채자본비용의 변화와는 큰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현대 기업에 있어서 지주회사 체제가 주주가치 및 신용등급 향상을 통한 시장가치 증대(자본비용 감소)에 기여하는 기업구조인가에 대한 논쟁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