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식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개별 펀드 수익률에 따라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종목 선택 및 시장 예측 능력으로 나누어 포트폴리오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과 지속성을 분석하여 성과가 펀드 매니저의 능력에 의한 것인지 알아본다. 유의적인 종목 선택 및 시장 예측 능력이 존재하고, 지속된다면 주식 시장이 완전히 효율적이지 않다는 증거가 된다. 하지만, 일정 기간 펀드 매니저의 능력에 의해 높은 성과가 발생하더라도 성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면 펀드 매니저의 능력에 의해 성과가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요인 모형과 HM(Henriksson and Merton) 및 STR(Smooth Transition Regressive) 모형을 이용하여 성과 및 성과 지속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에 따른 포트폴리오 재구성은 Henriksson(1984), Jagannathan and Korajczyk(1986), Bollen and Busse(2005)가 개별 펀드 추정에서 발견한 종목 선택 능력과 시장 예측 능력 간의 음(-)의 상관관계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3개월, 6개월, 12개월 재구성 기간의 포트폴리오 성과를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종목 선택 및 시장 예측 능력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시장 예측 능력이 포트폴리오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의적인 시장 예측능력이 존재하는 최상위 성과 포트폴리오의 시장 의존 베타는 평활하게 변하였다. 이는 시장 상황에 따라 점차 베타를 증가시키는 전략이 있다는 것이다. 이때, 최상위 성과 포트폴리오의 재구성 기간이 증가 할수록 평활하는 효과는 증가하였다. 넷째, 포트폴리오의 성과 지속성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3개월, 6개월, 12개월 성과 지속성이 없다는 것은 포트폴리오 재구성 기간에 나타난 종목 선택 및 시장 예측 능력이 펀드 매니저의 능력에 의한 것이 아님을 말해 준다.
핵심 단어 : 종목 선택 능력, 시장 예측 능력, 시장 의존 베타, 펀드 성과 지속성, 효율적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