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심포지엄         자료검색

[2013년 제 1차] Information Effect of Unfaithful Corporate Disclosu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304
본 연구는 경영자가 투자자의 배당에 대한 수요를 반영하여 배당정책을 결정한다는 배당의 케이터링이론이 국내에서도 적용되는지를 검증하였다. Baker and Wurgler(2004a)가 제시한 투자자심리지수가 배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 분석함으로써 한국시장에서의 배당지급 이유에 대해 행태재무론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배당 수요 및 투자자심리지수에 따라 배당정책에 대한 시장반응의 상이함을 검증함으로써 경영자가 왜 케이터링이론에 부합하는 배당의사결정을 내리는가에 대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배당의 케이터링이론을 지지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당지급 기업에 대한 투자자 수요를 측정하기 위한 변수인 수정 배당 프리미엄이 높을수록 배당지급 및 배당증가 성향이 강하며 배당증가 정도 또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자자 심리지수가 낮을수록 배당지급 및 배당증가 성향이 강하며 배당증가 정도 또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정 배당 프리미엄이 높을수록 또는 투자자심리지수가 낮을수록 배당지급 및 배당증가에 대한 공시효과가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영자가 투자자의 수요와 일치하는 배당의사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한 시장보상으로 주주부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영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게 하는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배당지급 이유에 대하여 행태재무론 관점에서의 설명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 국내 자본시장 특성을 반영하여 조정된 투자자심리지수의 신뢰성을 재검증하고 활용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 배당과 관련된 정확한 공시효과를 측정하였다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배당정책에 대한 이해의 질을 높임은 물론 경영자 및 투자자에게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첨부파일
특별심포지엄3_Information_Effect_of_Unfaithful_Corporate_Disclosure_정준영,박진우,이종현.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