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제의 자사주 취득내역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이 자사 주식을 저가에 매입하는지 분석한다. 또한,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이 어떠한 요인으로 설명 가능한지를 분석하고, 장기성과와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자사주 취득이 마켓타이밍 가설을 지지하는지 검증한다. 기존연구가 장기성과를 토대로 경영자의 마켓타이밍을 검증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일자별 자사주 취득단가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을 검증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사주 취득기업은 시장가격보다 할인된 가격에 자사 주식을 매입하며, 취득 소요기간이 장기이거나 취득횟수가 많을수록 보다 저가에 자사 주식을 매입한다. 둘째, 기관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와 같은 정보거래자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자사주를 높은 가격에 매수한다. 따라서 정보거래자 지분이 높을수록 기업의 주가에 사적정보가 신속히 반영됨으로써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은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업이 자사주를 저가에 매수할수록 장기성과가 더 높게 나타나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과 장기성과는 일련의 관련성이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자사주 취득에 있어 경영자는 마켓타이밍 능력이 존재하며, 정보거래자 지분이 증가할수록 저평가가 완화되어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은 감소한다. 또한 자사주를 할인된 가격에 매수할수록 장기성과가 개선된다. 따라서 자사주 취득에 있어서도 마켓타이밍 가설을 지지한다고 판단해 볼 수 있다.
핵심 단어 : 마켓타이밍, 자사주 취득, 저평가, 정보거래자, 장기성과
JEL 분류기호: G14, G30, G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