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비교의 기준(benchmark)전략으로서 100% 위험자산을 보유하는 매수보유(buy and hold; BH)전략과 여러 포트폴리오 보험전략의 성과를 비교해 보았다. 상정된 포트폴리오 보험전략들로서는 고정혼합비중(constant mix; CM)전략, 고정비율 포트폴리오 보험(constant proportion portfolio insurance; CPPI)전략, 시간불변 포트폴리오 보존(time-invariant portfolio protection; TIPP)전략, 그리고 옵션기반 포트폴리오 보험전략의 대표로서 합성풋옵션(synthetic put option; SPO)전략 등이다. 포트폴리오 보험전략의 성과는 주식시장의 상황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기준(baseline) 시뮬레이션의 주식시장 상황은 한국의 주식시장 상황을 반영하게 큼 계산(calibration)했다.
기준 주식시장 상황에서 전반적으로 매수보유(BH)전략이 포트폴리오 보험전략보다 기대수익률 측면서 나은 성과를 보였다. 하지만 변동성 측면에서는 포트폴리오 보험전략들이 낮은 변동성을 보였다. 특히 TIPP전략은 가장 낮은 변동성을 기록했다. 매수보유전략이 포트폴리오 보험전략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은 주가 움직임을 결정하는 모수들인 표류항과 변동성의 값들이 상대적으로 강세시장의 국면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합성풋옵션(SPO)전략은 다른 전략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성과를 보였다. 즉, 기대 수익률도 가장 낮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 역시 매수보유전략을 제외하고는 가장 큰 편이다. 이는 복제오류와 보장수준오류(protection level error)가 발생하고 거래비용이 다른 전략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만약 주가 수익률의 변동성을 추정을 해야하는 실제 상황의 경우 복제오류는 더욱 확대되게 된다.
선형거래규칙인 CPPI전략과 TIPP전략의 경우 보장수준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수 추정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옵션기반전략에 비해서 실행하기에 간편하다. CPPI전략의 경우 TIPP전략에 비해서는 기대수익률은 약간 크지만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큰 차이로 크다. 그 이유는 floor의 상승으로 인한 잠재적 주가 상승의 가능성을 축소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CPPI전략은 TIPP전략에 비해서 높은 기대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서 TIPP전략보다 높은 변동성이라는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다.
주가 수익률이 무위험 이자율 수준(5%) 이하인 약세시장을 상정하게되면 선형거래규칙인 CPPI전략과 TIPP전략이 매수보유(BH)전략보다 우수한 성과를 나타낸다. 즉 높은 기대 수익률과 낮은 변동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주가 수익률이 무위험 이자율 수준(5%) 이하인 약세시장에는 선형거래규칙이 우월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