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학술발표회         논문검색

[2016년 제 1차] 5요인 모형의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설명력에 관한 연구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969
본 연구는 Fama and French(2015) 5요인 모형(FF-5요인 모형)의 한국주식시장에서의 설명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변수들을 통제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주식수익률의 패턴을 분석한 결과, 주식수익률은 기업규모와 부(-)의 관계를 가지며 수익성과는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B/M은 윤상용 외 3인(2009) 등의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주식수익률의 움직임에 대한 설명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본투자의 경우에는 Fama and French(2015)의 결과와 달리 주식수익률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국가 경제가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는 한국 경제 상황에서는 기업의 투자로 인한 성장 여력이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Fama and Fremch(2015)에서 제시한 3가지 요인 구성방법에따라 FF-5요인 모형을 구성한 후, 기업규모, B/M, 수익성, 자본투자 변수를 통제한 분석 대상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FF-5요인 모형의 설명력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FF-5요인 모형은 요인 구성방법과 분석 대상 포트폴리오에 상관없이 Fama and French(1993) 3요인 모형(FF-3요인 모형)에 비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주식수익률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FF-5요인 모형이 FF-3요인 모형보다 적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핵심 단어 : 5요인 모형, 수익성, 자본투자, 주식수익률, 배당할인모형
 첨부파일
Session_3_1_5요인_모형의_한국_주식시장에서의_설명력에_관한_연구_류호영,정대성,김태혁.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