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까지의 국제유가 변화가 국내 산업별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국제유가 상승기와 하락기로 비교 분석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는 논문이다. 특히, 국제유가를 상승기(2000년 1월 ~ 2008년 7월)와 하락기(2012년 3월 ~ 2015년 12월)로 구분하여 한국증권거래소(Korea Stock Exchange)의 국내 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에 분류된 17개 산업 중 어떤 업종의 주가 수익률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서 2000년 1월 ~ 2015년 12월까지의 16년 동안의 17개 산업에 대한 월별 주가지수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는 두바이유에 대한 가격을 주요 표본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국제유가의 변동이 국내 산업별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VAR(Vector Auto Regressive)모형으로 분석하여 충격반응(Impulse Response)함수와 그랜저 인과관계분석(Granger Causality Test) 등을
보았다. 그 결과, 상승기에는 17개 산업 중에서 철강 및 금속을 비롯한 14개 산업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하락기에는 단지 운수장비를 비롯한 5개 업종만이 유의하게 나왔다. 또한, 국제유가 상승기와 하락기에 17개 산업 중 전기·전자를 비롯한 5개 업종만이 모두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전체기간 에서는 4개 업종만이 유의함을 알 수 있었으며, 건설업은 상승기, 하락기, 전체 기간 동안 가장 유의한 업종임을 실증분석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21세기의 국제유가가 상승기와 하락기에 KOSPI 17개 산업의 주가 수익률에 대해
서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았으며, 유가변동에 국내 주요 산업의 주가수익률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해당 기업들의 경영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주제어 : 국제유가, 주가, VAR, 충격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