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학술발표회         논문검색

[2016년 제 2차] KOSPI200 원선물과 미니선물의 가격발견 기능 비교 분석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732
2015년 7월에 도입된 미니선물은 거래승수가 기존 선물의 1/5로 축소된 상품으로 거래전략의 활성화와 정밀한 헤지로 기존 선물을 보완하는 역할을 가진다. 본 논문은 미니선물의 질적 수준을 현물에 대한 가격발견의 효율성으로 평가하여, 동일한 표본기간동안의 원선물과 비교했다. 벡터오차수정모형(VECM)과 Hasbrouck의 정보량으로 추정한 본 연구의 주요한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미니 선물이 도입된 후 8개월 동안 미니 선물의 일평균 계약수는 원선물의 16.6%이며 거래대금은 원선물의 3.3%였지만, 미니선물 도입으로 인한 원선물 거래 활동의 잠식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원선물로부터 미니선물시장으로 수요가 이전하기보다는 미니선물에 대한 신규 수요가 창출되어 전체 선물시장의 규모가 확대되었음을 제시한다. 둘째, 벡터오차수정모형으로 미니선물과 현물간 선도·후행 관계를 검증한 결과, 미니 선물의 도입 이후 기간동안 원선물과 미니 선물은 모두 유의적으로 현물을 선도하였으며 현물 가격발견에 대한 원선물과 미니 선물간 주도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미니선물시장의 거래활동과 성숙도가 원선물에 비해 낮음에도 불구하고, 가격발견의 효율성에서는 원선물과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특히 원선물, 미니선물, 현물간 상호작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정보량을 추정한 결과에서는 오히려 미니선물이 현물을 선도하는 경향이 원선물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실증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개설 이후 시장의 성숙도와 유동성이 상당기간 축적된 후에 미니선물의 가격발견 기능이 향상하는 것으로 분석된 해외 시장의 미니선물의 사례와 비교할 때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같은 결과는 원선물과 미니선물의 거래활동의 규모를 통제했을 때, 미니선물의 가격발견의 효율성이 원선물을 능가한다고 볼 수 있다

핵심 단어 : 미니선물, 원선물, 차익거래, 가격발견, 유동성
JEL 분류기호: G12, G13
 첨부파일
24-1_KOSPI200_원선물과_미니선물의_가격발견_기능_비교_분석.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