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민연금의 해외투자를 위한 외환거래가 국내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했다. 먼저 국민연금의 현물환 거래가 외환시장에서 현물환율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를 보면 해외투자비중이 20% 미만의 기간 동안에는 국민연금의 현물환 거래가 현물환율의 변동성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지만 국민연금의 해외투자비중이 20% 이상의 기간에서는 국민연금의 현물환거래가 현물환율 수익률의 변동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결과는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로 현물환 거래량이 증가할수록 현물환율의 변동성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 외환스왑시장에서 국민연금의 외환스왑 거래가 선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를 보면 국민연금 해외투자 비중이 20% 미만의 기간에서는 국민연금의 외환스왑 거래가 선도환율 수익률의 변동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국민연금의 해외투자비중이 20% 이상의 기간과 전체기간에서는 국민연금의 외환스왑 거래가 선도환율의 수익률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민연금 외환스왑거래가 선도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기간에서 보다 해외투자비중이 20% 이상인 기간에서 더 큰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결과는 외환스왑시장에서 국민연금이 치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국민연금의 외환스왑거래가 선도환율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외환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해외투자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의 외화계정에서 단기외화자금 운용의 확대 등을 통해서 안정적인 외화조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