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ETF(Exchange Traded Fund)라고 알려진 상장지수펀드의 시장가격과 ETF의 순자산가치인 NAV(Net Asset Value)의 차이를 비율로 계산해 ETF 시장가격이 NAV보다 저평가 혹은 고평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해보고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ETF 시장가격은 NAV 자체를 비교했을 때 저평가 되어 있었다. 둘째, ETF 시장가격은 NAV에 매도거래세라는 세금요소를 반영했을 때 고평가 되어 있었다. 셋째, 이렇게 세금을 고려한 경우 나타나는 ETF 시장가격의 고평가 현상에 대해 변동성 변수와 유동성 변수를 세분화하여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동성 변수와 유동성 공급자 관련 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유동성 공급자의 유의성이 더 높았으며 유동성 공급자 중에서 매도 유동성이 매수 유동성 보다 높은 유의성을 가졌다. 이것은 ETF 시장가격과 세금을 고려한 NAV를 비교해 나타나는 ETF 시장가격의 고평가 현상이 유동성 공급자에 의한 매도 유동성의 영향이 큰 원인일 수 있으며 ETF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평가가 지금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단어: 상장지수펀드, 포트폴리오, 가격오차, 순자산가치, 유동성 공급자
JEL 분류기호: G10, G11, G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