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금융위기 이후 파생상품 시장의 과도한 레버리지로 인한 개인투자자의 투기적 폐해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연속된 규제가 파생상품시장의 기능에 어떤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가격 안정화기능으로서 규제이전과 이후의 현선물 차익거래의 변화를 보기위해 제약공적분 검정을 하였다. 둘째, 가격발견 기능의 변화를 보기위해 오차수정모형(VECM)의 공적분 방정식 계수인 Gonzalo and Granger (1995)와 Hasbrouck (1995)의 정보비율의 규제 전/후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셋째, 최소 헤지비율을 통해 파생 상품시장의 헤지 효율성이 규제 전후에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9년 1월 5일 부터 2017년 6월 7일까지 KOSPI200 현물과 선물지수이며 규제 전후의 구분은 개인투자자의 옵션매수 기본예탁금제를 도입한 2011년 8월을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첫째, 요한센 공적분 벡터에 대한 제약조건 검정결과 규제이전에는 장기일치 제약조건을 기각하지 못함으로 시장에서 현선물 베이시스를 이용한 차익거래가 유효했던 시기였으나, 규제 이후에는 안정적 제약조건과 장기 일치 제약조건 모두 기각함으로 차익거래의 부재에 따른 현선물시장의 균형이 어렵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격발견 기능에 있어 선물시장의 가격발견기능이 규제 이후에 약화되었다. GG와 Hasbrouck 비율을 통한 분석결과 규제 이전에는 선물시장이 현물시장에 비해 가격발견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규제 이후에는 현물시장이 주식시장의 가격발견에 기여하였다. 셋째, 규제이후 파생상품시장의 헤지 효율성은 약화되었다. 일반적으로 금융위기 시기에는 안정기 보다 위험최소 헤지비율이 높아 헤지 비용이 증가할 것이다. 규제 이후 기간인 2011년 8월 이후 시장에 큰 충격이 없는 금융안정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최소 헤지비율은 금융위기 기간에 해당하는 규제 이전 시기보다 높아 졌다. 따라서 금융안정기임에도 불구하고 헤지비율 상승에 따른 헤지단위 비용의 증가는 규제 이후 파생상품시장의 헤지 효율성이 저하한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