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유가가 상승하는데 원유펀드는 수익이 나지 않을까? 2016년 1월 4일부터 2019년 12월 23일까지 국제유가는 63% 상승한 반면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원유펀드는 12% 상승에 불과하였다. 원유펀드는 보통 원유선물 등의 파생상품을 활용하여 운용되고 있다. 원유펀드에서 최근월물 원유선물의 만기도래 시 원월물로 갈아타는 롤오버(roll-over)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롤오버비용과 매매비용, 환헤지비용, 보수 등은 원유펀드 수익률을 낮추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은 원유펀드와 러시아펀드 간 상관성을 살펴보고, 원유펀드에 투자하는 것에 갈음하여 투자비용 측면에서 우위가 있는 러시아펀드에 투자하였을 때의 위험 대비 투자성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펀드 운용 및 비용 구조에 따른 펀드투자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투자의 대안을 제시한 것은 투자자 및 학계에 기여할 것이 있다고 생각했다. VAR모형과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유펀드 수익률 변동은 러시아펀드 수익률 변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러시아펀드 수익률 변동이 원유펀드 수익률 변동의 원인으로 볼 수 없었다. 둘째, 샤프지수를 활용하여 원유펀드와 러시아펀드의 위험 대비 투자성과를 살펴본 결과 러시아 펀드의 우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러시아펀드는 현물시장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롤오버비용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배당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보았다.
주요 단어 러시아, 원유, 그랜저 인과관계, 샤프지수, 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