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공매잔고비율 포트폴리오에서 일어나는 이후의 추가공매 또는 상환매수의 양태를 주가움직임과 연관해 분석해 봄으로써 공매잔고비율에 따라 공매제약(short constraints)이 강화되는 경향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는 공매거래자의 공매잔고가 주가상승시 증가하고(추가공매), 주가하락시 감소해 (상환매수) 공매거래자가 역추세 추종 방식으로 공매 및 상환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매잔고비율이 매우 큰 포트폴리오에서는 주가상승시에 공매잔고가 크게 감소하고 (상환매수) 하락시에 증가하는 (추가공매) 추세 추종 거래가 관찰되었다. 공매잔고가 매우 클 때 (차익실현을 위한 상환매수보다) 포지션손실이 큰 주가상승 종목에 대한 비자발적인 상환매수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공매잔고비율이 일정한 임계치를 넘으면 대주가능 물량이 감소하고 대주 수수료과 상환청구 위험(recall risk)이 높아져 공매제약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고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주제어: 공매잔고비율, 공매잔고 변화량, 공매제약, 컨트래리안거래, 추세추종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