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심포지엄         자료검색

[2009년 제 1차] 펀드스타일분석의 유용성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026
본 연구에서는 주식형 펀드의 특성 중 펀드 처분효과(disposition effect)를 중심으로 한국 펀드시장에서 처분효과의 존재여부에 대해서 분석하고, 또한 이러한 처분효과와 펀드 성과간에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처분효과란 투자자들이 장부상으로 현재 이익을 기록하고 있는 주식들(winning stocks)을 빨리 매도하고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주식들(losing stocks)을 계속 보유하거나 천천히 매도하려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이 이러한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기관투자자에게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펀드별로 처분효과를 추정하는 방법론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다. 기존의 방법론은 이익을 실현한 비율과 손실을 실현한 비율의 차이에 기초하고 있으나, 이는 거래수량의 측면을 간과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가격탄력성 개념을 도입한 처분효과 추정치의 방법론을 소개하고자 한다.
여기서 소개된 방식으로 2002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의 월별 펀드자료를 활용하여 처분효과를 계산해 본 결과 한국의 주식형 펀드들 사이에는 약한 정도의 처분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처분효과를 기준으로 펀드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면 처분효과가 높은 펀드들은 상대적으로 처분효과가 낮은 펀드들에 비해 미래 성과가 더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기관투자자인 펀드매니저들은 대체로 처분효과를 경험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펀드의 단기적 성과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 words : 처분효과, 한국펀드시장, 가격탄력성, 펀드미래성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