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심포지엄         자료검색

[2013년 제 1차] 헤징과 이익관리가 한국기업의 환노출에 미치는 영향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157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10년의 표본기간 동안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파생상품사용과 이익관리가 기업의 환노출관리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환위험관리활동을 하기 전에 부담하는 환노출(예측환노출)과 환위험관리활동의 성과가 반영된 후의 환노출(관찰환노출)을 구분하고, 헤징 또는 이익관리의 한편에 초점을 맞춘 기존연구와는 달리 두 수단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환노출관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연구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기간 동안 한국기업들의 이익관리활동 (재량적 발생액과 이익유연화)은 기업의 환노출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반면, 파생상품사용은 부분적으로 환노출관리에 긍정적으로 기여했음을 보여주나, 복잡하고 과도한 파생상품사용은 환노출관리의 성과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한국기업의 환노출관리 활동과 환노출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주로 영업활동에서의 환노출포지션이 (+)인 기업들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반면, 환노출포지션이 (-)인 기업들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기업의 환노출포지션의 특성에 따라 환노출관리 활동이 차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분석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하기 위해 파생상품사용기업을 중심으로 대응표본을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는 파생상품사용은 환노출관리에 긍정적으로 작용을 하며 이익관리변수는 환노출관리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앞서의 결과를 확인시켜 준다. 또 금융위기 전후기간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금융위기 전 기간에는 발생액 조정을 통한 이익관리활동이 후 기간에는 파생상품사용의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 표본기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주제어: 예측환노출; 관찰환노출; 환노출관리비율; 파생상품; 재량적 발생액; 이익유연화
 첨부파일
특별심포지엄4_헤징과_이익관리가_한국기업의_환노출에_미치는_영향_권택호,박종원.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