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십년간 주식예탁증서를 포함한 역외상장(cross-listing) 종목수는 자본조달비용절감 및 거래유동성 개선을 목적으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여 왔다. 이러한 기업들의 역외상장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역외상장주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무시하지 못할 투자비중으로 인해 국제재무이론 문헌에서도 역외상장의 주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1)원주와 역외주 간의 차익거래에 관한 연구, (2) 다중상장주식의 가격탐색에 관한 연구, (3)역외상장 의사결정이 기업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또는 기업지배구조가 차익거래에 미치는 영향 등 크게 세 가지 주제로 나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문헌에 기록된 바가 상대적으로 적은 세 번째 주제에 주안했으며, 실증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DR을 역외상장한 국내 상장기업일수록 그렇지 않은 국내 상장기업에 비해서 주식이 상대적으로 고평가되며 이는 한국 주식시장에 역외상장 프리미엄(cross-listing premium)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둘째, DR 역외상장 기업의 기업지배구조는 그렇지 않은 기업 보다 우월하다. 셋째, 가격탐색 및 시장통합의 척도인 DR과 원주 간의 가격차이는 기업 및 시장변수, 그리고 기업수준 국가수준 기업지배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핵심단어: 기업지배구조, 주식예탁증서, 역외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