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투명성은 비단 기업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이해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학계와 재계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하지만 투명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투명성’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고 기본적인 연구 및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아울러 투명성을 측정할 자료의 한계로 인해 실증적 분석 또한 국내외적으로 일천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의 투명성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기업 정보의 특성 및 투명성 측정을 위한 구성 요소에 대해 제시하는 한편 기업의 사업 보고서를 토대로 투명성 지수에 대한 예시를 제시한다. 즉 기업을 경제 주체간의 결합체 혹은 재산권의 결합체로 정의하고, 이들 경제 주체들 사이에 유발되는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기업 구조와 관련하여 투명성에 대한 정의를 내리며, 아울러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실증적 분석을 위해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기업 투명성 지표 측정에 고려되어야 할 구성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기업의 사업 보고서를 토대로 지수화하여 한국 기업 지배 구조 센터의 지배구조점수와 간략히 비교하며, 기업 정보가 지니고 있는 한계성과 질적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