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과거 미국 주가가 오르면 한국 주가도 오르던 패턴과는 정반대의
상황이 나타나면서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이 미국시장과 디커플링 되고 중국시장과 동조화
되고 있다는 의견이 종종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주식시장의 동조화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금융시장의 환경변화에 따라 시변하는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에 착
안하여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미국, 중국 주식시장 간에 시변하는 동조
화의 관계변화와 동태적 전이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2가지의 방법론을 이용
하고 있다. 첫째, 한국과 미국, 중국 주식시장 간의 시변하는 동조화 현상을 보다 잘 포착하기 위하여 Engle(2002)의 DCC 모형을 이용하여 조건부 동태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최근 동태적 연구방법으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Diebold and Yilmaz(2009, 2012)가 제안한 Spillover Index 모형을 이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미국, 중국 주식시장의 수익률 및 변동성 전이효과가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미국, 중국 주식시장 간에 동조화가 여전히 강하다는 증거를 발견하는 한편,주식시장 동조화가 금융시장 환경변화에 따라 급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수익률 전이효과는 미국에서 한국과 중국으로 그 영향이 일방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변동성 전이효과는 미국, 한국, 중국 간에 양 방향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주제어: KOSPI, S&P500, Shanghai Index, 주식시장 동조화, DCC 모형, Spillover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