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ELW 시장이 KOSPI200 수익률의 가격발견에 공헌함으로써 우리나라 자본시장에 기여하는 바가 있는지 조사한다. 이를 위해 chan et al.(2005)의 콜/풋 거래금액비율과 내재변동성 차이로 정의되는 콜/풋 변동성 스프레드를 이용하여 ELW 시장과 KOSPI200 수익률과의 정보효과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 첫째, 콜/풋 ELW 거래금액비율과 KOSPI200 수익률의 동시적 관계는 등가격에서는 성립하였지만 내가격과 외가격에서는 성립하지 않았다. 둘째, 선도-지연관계(lead-lag relationship)를 분석한 결과 콜/풋 ELW 거래금액비율은 KOSPI200 수익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셋째, 발행회사별로 분류하여 ELW 시장의 KOSPI200 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검증해 보았지만 역시 가격발견 기능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콜/풋 ELW 변동성 스프레드와 KOSPI200 수익률 간의 정보효과를 분석하였는데 ELW 시장의 기초자산 수익률에 대한 가격발견 기능은 유의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ELW 시장과 KOSPI200 수익률 간의 동시적 관계는 일부 발견되었지만 ELW 시장의 기초자산 수익률에 대한 가격발견기능은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주제어 : ELW(Equity-Linked Warrants), KOSPI200 수익률, 콜/풋 거래금액비율, 콜/풋 변동성 스프레드, 가격발견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