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학술발표회         논문검색

[2017년 제 3차] 중국 국채시장의 발행효율성 및 유동성 프리미엄 분석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919
이 연구는 중국 자본시장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중국 채권시장에서 가장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국채시장, 특히 발행시장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점진적 추세를 보이던 중국의 국채 시장은 2007년부터 신규발행량이 급증하면서 최근 발행 잔액이 한국 국채 발행 잔액의 약 5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시장 초기 다양한 구조적 문제로 1997년 부터 은행 간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한 중국 국채 유통시장은 거래량 증가가 완만해 최근에도 국내 국채 거래액의 절반 이하에 머무르고 있다. 중국 국채시장의 발행효율성을 2002년부터 2016년 사이에 발행된 기장식 국채 발행 자료로 분석한 결과, 발행효율성 수준이 2000년대 중반 이후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발행효율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채권시장 내외의 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채권발행 당시의 수익률 수준과 만기기간아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또한 전체 거래량의 증가가 발행효율성 수준과 유의한 관계임을 보이는 실증적 결과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시장 구조 속에서 채권퉁은 해외 투자자들의 자금과 투자기법을 도입해 중국의 채권시장, 특히 유통시장을 개선하려는 정책적 판단의 결과로 판단된다. 유통시장에서 거래가 허용된 기장식 국채와는 달리 유동성이 허용되지 않는 2006년에서 2016년 사이에 발행된 저축국채를 기준으로, 기간별로 상응하는 기장식 국채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유동성 프리미엄에 대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저축국채는 만기기간이 길수록 더 높은 프리미엄이 책정되었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점차적으로 프리미엄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국 국채시장은 발행효율성 수준은 개선되고 있으나 표면이율에 기초한 발행시장 수익성보다는 유통시장 수익률이 높은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발행시장보다는 유통시장에서의 투자가 더 높은 기대수익률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유통시장의 상대적 취약성으로, 채권퉁과 같은 중국 채권시장에 대한 새로운 기회에도 불구하고 중국 국채 투자 시에는 유동성 위험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주제어 : 중국 채권시장, 기장식국채, 저축국채, 발행효율성, 유동성 프리미엄
 첨부파일
투자론2-4_중국_국채시장의_발행효율성_및_유동성_프리미엄_분석_정희준,정언초.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