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스마트베타 위험요인들이 각기 다른 시점에서 수익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 착안 하여 그 수익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험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동태적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한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그 성과의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스마트베타 위험요인들에 대한 동태적인 가중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본 논 문은 국내에서 광범위한 거시‧금융 사이클 관련지표들을 수집하고, 이들 지표들이 스마트베 타 위험요인의 수익률에 대해 갖는 예측력을 검정하였다. 또한 위험요인 헤지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이 입증된 다수 사이클 관련 지표들을 활용하여 매 시점마다 변화하는 매수신호 강도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매수신호 강도와 위험요인 가중치의 정비례 원칙이 만족되는 예상강도가중치(expectation intensity weight)를 구성하였다. 시장벤치마크와 강도 가중치 위험요인 결합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비교해보면, 연별수익률은 10.36%에서 20.69% 로, 연별 표준편차는 18.94%에서 12.09%로, 왜도는 -0.44에서 0.20으로, 최대가치감가는 -46.12%에서 -12.52%로 바뀌는 등 큰 폭의 성과개선을 확인하였다. 강건성 검정으로는 표본 기간과 리밸런싱기간 조정 및 현실적 투자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매수전용포지션 등을 검 토하였는데 모든 경우에 대해서 동 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장기적인 주가수익률이 상당한 수준으로 예측가능하다는 중요한 이론적 함 의를 갖는다. 또한 본 논문이 제시한 단순한 포트폴리오 구성 방식을 금융소비자들의 기호 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고 복잡한 방식으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은 최근 부상하고 있 는 우리나라 스마트베타 ETF 펀드들의 위험요인 결합 투자전략의 전망을 밝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