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학술발표회         논문검색

[2018년 제 3차] 신용등급 하락 조건부 채권의 가치평가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379

본 연구는 채권 발행자의 신용등급이 일정한 등급 이하로 하락하는 이벤트 즉 rating trigger가 발생할 경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신용보강장치로써 1) 발행자가 보다 높은 등급의 채권을 담보로 제공할 의무 또는 2)투자자가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포함된 채(rating-triggered bond)의 가치평가 방법론을 실무적인 각도에서 제시한다. 외국의 경우 주로 이표(coupon)가 신용등급에 연동된 채권(step-up bond)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등급하락에 따른 조건부 담보형태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평상시에는 등급하락에 연계된 조건의 가치가 크지 않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특정 기업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인해 투자자 조기상환이 발생하여 큰 손실이 발생한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가치평가 목적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테스트 등 위험관리 측면에서도 이와 같은 등급하락에 연계된 조건의 가치를 산출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기발행된 등급하락 조건부 채권의 유형을 5가지 구분하고 사례별로 평가하였다. 가치평가 과정에서 필요한 등급하락확률은 신용평가사에서 제공하는 역사적 전이행렬을 사용하여 계산의 용이성을 확보하였다. 발행자 임의상환과 투자자 조기상환 조건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실무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Black, Derman, and Toy(1990)의 BDT 이항트리 모형을 사용하였다. 평가 방법론 전개하는 과정에서 전이행렬에서 등급하락확률을 계산할 때 5가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존재함을 설명하였다. 평가 사례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 등급하락에 연계된 조건들의 가치는 무시할 만큼 작은 수준으로 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등급 하락 조건부 조항을 제외하고 일반채권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기가 둔화되며 신용 상황이 악화될 때 부도율 및 등급하락확률이 상승하고 금리변동성이 높아지면 조건부 조항들의 가치가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선제적인 채권 포트폴리오 위험관리를 위해서 등급하락에 연계된 조건의 가치를 올바로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첨부파일
투자론1-1_신용등급_하락_조건부_채권의_가치평가_이상헌,기호삼.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