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제 2차] KOSPI200 지수옵션의 변동성스프레드 분석 :행사가격 및 과거수익률 적률의 영향과 변동성스프레드의 미래수익률에 대한 예측력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6
게시일 :
2019-06-04
본 논문은 KOSPI200 지수옵션을 행사가격에 따라 다섯 개의 범주로 구분한 다음, 범주별 변동성스프레드의 패턴, 과거 60거래일의 현물수익률 적률의 범주별 변동성스프레드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변동성스프레드와 미래현물수익률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변동성스프레드의 미래현물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고찰하였다. 실증결과, 차익거래이론의 예측과는 달리 풋옵션의 내재변동성이 콜옵션의 내재변동성보다 큰 음(-)의 변동성스프레드가 나타났으며 변동성스프레드의 음(-)의 크기는 풋옵션이 외가격으로 갈수록 확대되었다. 이는 KOSPI200 지수의 콜옵션과 풋옵션은 서로 복제불가능한 자산이며 각 옵션은 행사가격에 따라 고유의 수요를 가진다는 수요기반이론과 일치한다. 과거현물수익률 적률의 변동성스프레드에 대한 영향력의 분석결과는 과거 60거래 일간의 현물수익률, 표준편차 및 왜도는 변동성스프레드의 유의한 양(+)의 결정요인이었으며 양(+)의 표준편차 회귀계수는 옵션투자자의 위험추구성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양(+)의 왜도 회귀계수는 주식투자자가 극단의 손실을 회피하려는 성향으로 인한 풋옵션의 수요증가에 기인하는 것이며 극단의 이익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인한 콜옵션의 수요증가 때문이라는 설명과 일치한다. 변동성스프레드의 미래수익률의 예측력에 대한 분석결과는 변동성스프레드와 미래 수익률의 상관계수가 음(-)인 것으로 나타나 미국의 개별주식옵션에 대한 기존연구결과와는 반대되는 반전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KOSPI200 지수옵션 변동성스프레드의 반전효과는 2주후까지 지속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이론이 예측하는 바와는 달리, KOSPI200 지수옵션의 변동성스프레드는 0이 아니고 행사가격 및 과거수익률 적률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미래현물수익률에 대한 예측력도 가지고 있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