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권 가치는 기업 통제에 따른 사적이익의 가능성 혹은 경영권 경쟁 가능성을 반영하는 바, 사적 이익 추구와 경영권 경쟁 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소유 지분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2004-2016년 동안 보통주와 우선주 주가를 이용하여 지배주주 지분율이 의결권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배주주와 5% 이상 대량지분 투자자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함으로써 외부 대규모 투자자가 의결권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배주주 지분율은 의결권 가치와 ‘역 U자형’의 비선형 관계를 보였다. 지배주주 지분율이 낮은 수준에서 지배주주 지분율은 의결권 가치에 양(+)의 영향을 주지만, 지배주주 지분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음(-)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5% 이상 주요주주의 지분율은 지배주주와 의결권 가치의 관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외국인투자자와 국내 기관투자자는 지배주주와 의결권 가치의‘역 U자형’ 관계를 완화시켰다. 즉, 지배주주 지분이 높아 의결권 가치가 희석되었을 때, 외부 대규모 기관투자자는 의결권의 가치 하락을 완화시켰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의결권 가치가 사적 이익 추구의 가능성에 영향을 받기 보다는 경영권 경쟁 가능성의 영향 아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의결권 가치를 지배주주의 소유구조로 분석하고 의결권 가치에 대한 국내외 대규모 기관투자자의 영향을 조명함으로써, 최근 진행되는 기관투자자의 주주권 참여와 의결권 가치에 대한 논의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요 단어 : 의결권 가치, 사적이익, 경영권 경쟁, 지배주주 지분율, 기관투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