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O 시장 확대, 보험 및 연금부채의 시가평가 도입으로 부채를 고려한 자산운용 및 성과평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사례를 중심으로 확정급여형 퇴직급여부채의 증가율과 과거 2000년~2018년간 투자자산의 수익률을 이용하여 자산과 부채를 동시에 고려한 ALM 측면의 성과지표와 자산만을 고려한 자산중심의 성과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성과지표를 극대화하는 포트폴리오를 도출하여 그 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자산중심의 성과지표인 샤프지수극대화 포트폴리오에서는 예금의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ALM 측면의 성과지표인 잉여금샤프지수극대화 포트폴리오 및 적립비율샤프지수 극대화 포트폴리오에서는 부채와 상관관계가 높은 국내채권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샤프지수극대화 포트폴리오는 부채증가율을 커버하지 못하는 수익률로 인해 잉여금샤프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잉여금샤프지수 및 적립비율샤프지수 극대화 포트폴리오는 적립비율 및 적립비율의 변동성 측면에서 샤프지수극대화 포트폴리오보다 더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립비율 향상 또는 안정적 관리가 주요 목표인 부채를 고려한 자산운용은 자산중심의 성과 지표 대비 잉여금샤프지수, 적립비율샤프지수 등 ALM 측면의 성과평가지표가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글 색인어 : 자산부채종합관리, 잉여금, 적립비율, 샤프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