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학술발표회         논문검색

[2022년 제 1차] 특허 정보에 기반한 기술혁신 측정치의 주가예측력 비교 연구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53

본 연구는 1985년 1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국내 비금융 상장회사가 등록한 특허 자료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이 제시하였던 7가지 기술혁신 측정치들을 추정하고, 이들이 과연 유의한 미래 주가예측력을 가지는지 그리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포트폴리오 투자전략이 높은 수익성을 얻는지를 검증하였다. 먼저 미래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한 횡단면 회귀분석에서는 7가지 기술혁신 측정치 중에서 R&D비용을 시가총액으로 나눈 R&D 집중도 측정치(RDI)만이 2000년 이후의 표본기간에서 미래 주식수익률에 대한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년의 기술혁신 측정치를 기준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들의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오직 RDI를 기준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에서만 RDI가 증가할수록 수익률이 단조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RDI가 가장 높은 그룹을 매수하고, 가장 낮은 그룹을 매도하여 구성한 헤지 포트폴리오는 월평균 0.75%(시장조정수익률)과 0.68%(위험조정수익률)의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얻었으며, 가치가중 평균수익률로 계산할 경우에는 초과수익률이 더 증가하여 월평균 1.16% (시장조정수익률)와 1.18%(위험조정수익률)에 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DI 측정치가 미래 주가예측력을 가져서 이를 활용한 투자전략이 높은 수익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투자전략의 수익성은 소형주보다는 대형주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RDI 측정치에 기반한 투자전략은 포트폴리오 구성 후 3년 이상까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익성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6개 기술혁신 측정치들은 유의한 주가예측력을 가지지 못하여 이들을 기준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들 역시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단어: 특허, 기술혁신 측정치, 특허 빅데이터 분석, 주가예측력, 제한된 관심​ 

 첨부파일
5-1__특허_정보에_기반한_기술혁신_측정치의_주가예측력_비교_연구_고봉찬,김진우,정우성.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