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개입 없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매매하는 고빈도 알고리즘 매매(이하, HFT)는 최근 국내외 주식시장에서 새로운 주도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시장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긍정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HFT를 투자성과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HFT는 선행연구에서 유의미한 실적을 보이지 않는 데이트레이딩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알고리즘을 이용한 종목 선정 매매타이밍 포착과 빠른 주문이 가능한 인프라가 일반 데이트레이더와 상이한 투자성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HFT의 데이트레이딩 전략은 종목 선정과 투자성과에 있어 일반 데이트레이더와 차별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수료와 거래세 등의 거래비용을 초과하는 투자성과 및 위험조정 이후의 투자손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 향후 주식시장 및 파생상품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게 만든다. 다만 장중변동성이 데이트레이딩 전략에 핵심임을 고려할 때 HFT가 인위적으로 변동성을 확대시켜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금융당국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HFT의 데이트레이딩 전략은 종목 선정과 투자성과에 있어 일반 데이트레이더와 차별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수료와 거래세 등의 거래비용을 초과하는 투자성과 및 위험조정 이후의 투자손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 향후 주식시장 및 파생상품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게 만든다. 다만 장중변동성이 데이트레이딩 전략에 핵심임을 고려할 때 HFT가 인위적으로 변동성을 확대시켜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금융당국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주제어: 고빈도 알고리즘 매매 데이트레이딩 거래비용 금융당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