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재논문 작성 요령
1. 사용언어
투고논문은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한다. 투고논문이 영문인 경우에는 Asia-Pacific Journal of Financial Studies(AJFS)의 영문논문 작성 요령을 따른다.
2. 논문투고자의 의무
투고논문은 다른 간행물에 발표되지 아니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다른 간행물에 중복 심사 의뢰하여서는 아니된다.
3. 논문의 투고
논문은 한국증권학회 홈페이지(http://www.iksa.or.kr/)에 있는 안내와 같이 학회지 온라인 투고시스템(https://submit.e-kjfs.org/)을 통해 투고한다. 투고논문의 파일은 한글97 이상, 마이크로소프트 워드2000 이상, 또는 아도브 아크로뱃이어야 한다. 심사를 위한 모든 자료는 논문파일에 포함시키고, 투고신청서/윤리서약서와 KCI 유사도검사 결과 외의 보충자료를 별도의 파일로 제출하지 않는다.
4. 본문의 작성
본문은 줄간격 168%, 폰트크기 10 이상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모든 페이지에는 페이지 번호가 연속적으로 있어야 한다. 제목과 부제는 간결해야 한다. 참고문헌, 표, 그림은 본문 뒤에 별도의 페이지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문의 결론은 연구결과의 실무적, 제도적 또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문단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5. 영문요약
논문의 첫 페이지에 논문제목, 저자 성명, 소속 및 직위, 요약(abstract)을 포함하여 영문으로 작성한다. 같은 페이지의 주석에 주저자인 연락담당저자를 표시하고 연락담당저자의 이메일, 전화번호, 팩스번호 및 주소 등의 연락처를 표기한다. 영문요약은 200 단어를 넘지 않아야 하며,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단, 저자(들)이 작성한 영문요약은 편집위원회가 정한 영문 교열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논문을 대표할 수 있는 핵심단어(key words) 5개를 영문요약 다음에 제시한다. KOSPI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축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동일한 축약어가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가장 먼저 사용될 때 축약되지 않는 용어를 기술하고 축약어를 괄호 안에 표기한다. 영문요약에서는 선행연구의 인용을 하지 않는다.
6. 한글요약
논문의 두 번째 페이지에 논문제목, 저자 성명, 소속 및 직위, 요약을 포함하여 한글로 작성한다. 같은 페이지의 주석에 주저자인 연락담당저자의 이메일, 전화번호, 팩스번호 및 주소 등의 연락처를 표기한다. 국문요약은 500자를 넘지 않아야 하며,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논문을 대표할 수 있는 핵심 단어 5개를 요약 다음에 제시한다. 논문의 세 번째 페이지에는 동일한 한글 논문제목과 한글 요약만을 포함시킨다(즉, 두 번째 페이지에서 저자 성명, 소속, 연락처 삭제).
7. 연구비 수혜 등의 공지
연구비 수혜 등의 공지는 영문요약과 국문요약의 첫 페이지에 각주로 기재하며, 각주 번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8. 제목의 처리
장제목 및 절제목은 굵은 글씨로 아라비아 숫자 일련번호와 함께 다음 예와 같이 작성되어야 한다.
예:
1. 서론
2. 모형
2.1 기존연구
2.1.1 이론모형
2.1.2 실증모형
2.2 가정
2.3 연구모형
3. 자료
9. 각주의 처리
각주는 최소한도로 작성되어야 한다. 본문 내에서는 아라비아 숫자로 일련번호가 상첨자로 처리되어야 한다. 각주 내용은 줄간격 130%로 작성되어야 하며, 표, 그림, 공식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10. 표의 작성
본문에는 표의 위치를 지정해야 한다. 제목은 아라비아 숫자 일련번호와 함께 표의 내용을 잘 대표하는 단어로 구성되어야 한다. 표 설명은 표 제목 하단에 위치하며, 표는 표 설명 하단에 위치한다. 표 각주는 표의 하단에 위치하며, 표의 본문에 상첨자로 각주 번호를 부여해야 한다.
11. 그림의 작성
본문에서는 그림의 위치를 지정해야 한다. 그림 제목은 아라비아 숫자 일련번호와 함께 그림의 내용을 잘 대표하는 단어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림 설명은 그림 제목 하단에 위치하며, 그림은 그림 설명 하단에 위치한다.
12. 수식의 작성
매우 짧은 수식을 제외한 모든 수식은 별도의 줄로 가운데 정렬로 작성되어야 하며, 오른쪽 끝에 일련번호를 (1), (2) 등과 같이 붙인다.
13. 참고문헌의 작성
참고문헌은 본문 뒤에 별도의 페이지로 구성되어야 한다.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기재한다.
(1) 정기간행물의 경우
저자명, 연도, 논문제목, 간행물명(이탤릭체), 권(Vol.), 호(No.), 면(page) 순으로 기재한다. 단, 각 호(No.)의 면(page)이 전 호의 면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호를 생략할 수 있다.
예: 한국어논문
Hong, G., and G., Hong, 1980, A Study on the Market Microstructure of Koran Stock Market,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Vol. 1 (1), pp. 1-24.
예: 영어논문
Jensen, M. C., and W. H. Meckling, 1976, Theory of the Firm: Managerial Behavior, Agency Costs and Ownership Structure,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Vol. 3, pp. 305-360.
(2) 정기간행물이 아닌 경우
도서인 경우는 저자명, 도서명(이탤릭체), 출판회수(2판 이상인 경우), 권(2권 이상인 경우), 출판사명, 출판지, 출판년도 순으로 기재한다.
예:Airasian, Peter. W., Classroom Assessment, 2nd ed., McGraw-Hill, New York, 1991.
정기간행물 또는 저서가 아닌 참고문헌의 경우, 발간 기관을 명시하고 독자들이 해당
문헌을 찾을 수 있는 URL을 표기한다. 만약 URL을 표기할 수 없는 문헌이면, 논문에서
인용하지 않는다.
Working paper의 경우 저자명, 논문제목, working paper임의 표시(이탤릭체로 표시, 예: ‘Working Paper’), 소속기관, 연도, URL의 순으로 기재한다.
예: Evans, M., and R. Lyons, Why Order Flow Explains Exchange Rates, Working Paper, U.C. Berkeley, 2007, https://faculty.georgetown.edu/evansm1/wpapers_files/Announcements.pdf.
14. 본문 내의 인용문헌
(1)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연도 또는 발행 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예 : “이 문제에 관하여 Hong(1993) ...”
“Hong(1993 : 25)은 ...”: 1993년도 문헌의 페이지 25의 경우
(2)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문헌들 사이를 세미콜론(;)으로 가른다.
예 : “한 연구(Hong, 2019 : 25)에 의하면 ...”
“최근의 연구(Hong, 2019 : 25 ; Anderson, 2019 : 25)에 의하면 ...”
(3) 저자가 다수일 경우 2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되, 3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다음은 ‘et al.’로 나타낸다.
예 : Jensen and Meckling(1976 : 25)
Wittrock et al.(1986 : 25)